본문 바로가기

생각해보기

진단 했지만 정확한 정보가 없어 4년 동안 뇌에서 ‘희귀 촌충’ 키운 남자 충격

진단 했지만 정확한 정보가 없어 4년 동안 뇌에서 ‘희귀 촌충’ 키운 남자 충격

 

MRI 스캔을 통해 촌충이 있다는 것을 진단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4년 동안 뇌에서 촌충을 키운 남성의 끔찍한 사례가 알려져 의학계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 디스커버리뉴스 등 해외 언론의 20일자(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 기생충은 스피로메트라(Sprometra)라는 기생충 종에 속하는 촌충(Spirometra Erinaceieuropaei)으로, 뇌에 침투할 경우 발작과 기억상실, 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스파르가눔증에 시달릴 수 있다.

 

이 촌충의 원산지는 극동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수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갑각류나 개구리, 뱀 등의 양서류·파충류를 먹을 때 주로 인체로 침입할 수 있으며, 중국에서도 눈이 아플 때 민간요법으로 쓰는 ‘산 개구리로 만든 찜질제’로 인해 감염된 사례가 있다.

 

이 기생충은 희귀 촌충으로 1953년 이래 전 세계에서 300건 정도만 보고됐을 뿐이며, 영국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몸 길이 1㎝의 촌충을 4년 전 환자의 머리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의료진은 최초 발견 이후 이 촌충이 뇌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약 5㎝정도 이동한 것을 확인했다.

 

당초 기생충을 박멸하는 약물치료법을 시도해 봤지만 기생충이 약물에 저항하며 특별한 치료효과를 거두지 못했었다.

 

세계적인 유전체학 연구센터인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소속 의료진은 4년이 지난 최근에 들어서야 환자의 뇌에서 촌충을 제거하는 동시에 뇌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 남성 환자는 촌충으로 인해 시력에도 문제가 생겼었지만, 수술을 받은 뒤 시력을 되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술을 집도한 에프로시니 그크라니아 크로차스 박사는 “이런 질병을 영국에서 보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면서 “MRI 스캔을 통해 촌충이 있다는 것을 진단했지만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4년간 섣불리 제거수술을 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공적인 이번 수술을 통해 해당 촌충의 DNA 분석이 가능해졌다며, 이는 촌충과 관련한 희귀병 치료방법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를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