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서 가장 뜨거운 별’ 발견, 태양 온도의 42배
우주에서 가장 뜨거운 별을 발견해 학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으며, 태양 온도보다 무려 42배나 더 뜨거운 별이라고 한다.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의 26일자 보도에 따르면 최근 독일 튀빙겐 대학 연구진이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백색왜성인 ‘RX J0439.8-6809’는 표면 온도가 무려 25만℃에 달한다.
이는 태양보다 약 42배 더 뜨거운 온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뜨거운 별(5만℃)의 5배에 달하는 열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리 태양의 온도는 6000℃ 이하로 알려져 있으며, 약 46억년 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만약 태양이 불타오르기 시작한다면 최대 18만℃까지 온도가 오를 수 있으며, 지구를 포함한 태양계 모든 행성이 한꺼번에 잿더미로 변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백색왜성이 가장 뜨거웠던 시점은 지금으로부터 1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000년 전 이 별의 온도는 무려 40만℃에 달했으며, 현재는 냉각기에 해당돼 온도가 낮아지는 과정이다.
이 백색왜성이 처음 발견된 것은 20여 년 전인데, 당시 밝기가 매우 높아 우리 은하계와 거리가 매우 근접한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조사한 결과 이 백색왜성은 우리 은하계 변두리 궤도를 초당 220㎞의 속도로 움직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구와 초고온 백색왜성 사이에는 다양한 화합물질이 혼합된 가스형태의 기체와 우주먼지 등이 존재한다.
연구진은 “별은 생애의 마지막에 다다랐을 때 자신이 가진 모든 중심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치솟는다”면서 “고온의 해당 백색왜성 역시 점차 죽어가는 과정에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천문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 최신호에 실렸다.
'공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바타' 찍어 더 유명한 中장가계 대협곡 유리다리, 내년 노동절에 개방 (0) | 2015.12.04 |
---|---|
감추고 살아온 얼굴 ‘빨간 반점’ 당당히 공개한 여성의 사연 (0) | 2015.12.03 |
美 로드아일랜드주 유명세 떨치는 ‘춤추는 경찰관’ 해고 논란 (0) | 2015.11.28 |
수박 먹기 전 손 닦는 귀여운 아기 판다 영상 화재 (0) | 2015.11.26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끊이지 않는 참극, 오열하는 이스라엘 여군 병사 (0) | 2015.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