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뭇가지인지 곤충인지 위장술이 탁월한 희귀 ‘신종 대벌레’ 발견
나뭇가지인지 곤충인지 언뜻 보면 잘 모를 정도로 위장기술이 탁월한 희귀 ‘신종 대벌레’가 발견돼 학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 과학전문매체 라이브 사이언스닷컴은 3일(현지시간) 보도에 최근 홍콩 곤충학회(Hong Kong Entomological Society) 연구진이 중국 남부 숲 속에서 신종 대벌레를 발견했다고 한다.
연구진은 중국 남부 광시성 대명산 국립 자연보호지역의 상록수림에서 이 대벌레를 포착할 수 있었으며, 홍콩 곤충학회 조지 호 웨이첸 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이 상록수림은 각종 대벌레들이 대규모로 서식하는 곳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훌륭해 희귀 신종들이 많이 분포되어있다고 한다.
이 신종 대벌레는 다른 종류와 마찬가지로 좁고 긴 몸에 식물 줄기 사이에 완벽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녹색과 갈색을 띠고 있어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꼼짝없이 나뭇가지라고 착각할 수밖에 없는 위장의 천재다.
이들의 위장술은 워낙 탁월해서 바람이 살짝 흔들리는 식물의 움직임까지 따라하는데 각종 육식동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식 중 하나다.
또한 야행성인 관계로 연구진은 한밤중 손전등을 이용해 참나무 잎 근처를 자세히 조사한 후에야 신종 대벌레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신종 대벌레의 크기는 암컷이 7cm, 수컷이 5cm정도로 연구진은 새롭게 발견된 신종 대벌를 ‘Sinophasma damingshanensis’라는 새로운 학명을 붙였다.
한편 현재까지 발견 된 대벌레 종류는 약 3,000종으로 그 중 25종은 중국서 발견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독일 곤충학 학술지 ‘Deutsche Entomologische Zeitschrift’에 발표됐다.
사진=George Ho Wai-Chun/Hong Kong Entomological Society
'공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살장 실려 가는 돼지의 고공 탈출사진 화제 (0) | 2014.06.09 |
---|---|
‘제2의 지구 ‘캅테인 B(Kapteyn B)’ 불과 13광년만 가면 존재해 (0) | 2014.06.06 |
우주빅뱅 비밀담은 ‘초신성 폭발’ 재현 성공 (옥스퍼드大) (0) | 2014.06.04 |
라이브 사이언스닷컴에서 분석한 수박의 영양학적 장·단점 (0) | 2014.06.03 |
스페이스X, 차기 ‘우주 택시’ 드래곤 V2 공개 (0) | 201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