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억 프로젝트 가동 “실제 불랙홀” 촬영한다
200억 들여 불랙홀을 카메라 렌즈에 담는 대형 프로젝트가 유럽에서 착수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허핑턴 포스트는 유럽 천체물리학자 팀이 유럽연구위원회로부터 1400만유로(한화 약 201억 원)를 지원받아 실제 불랙홀을 촬영하는 “불랙홀 캠(BlackHoleCam)”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사진=위키피디아·NASA 제공
불랙홀은 중심인 특이점의 중력장이 너무 커서 해당 경계 기점를 지나면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심지어 빛까지도) 시공간 영역을 의미하며, 이론적으로만 존재해왔지 실체가 규명된 적은 없다고 한다.
불랙홀 캠 프로젝트 총괄책임자이자 네덜란드 네이메헌 라드바우드 대학 천체 물리학자인 헤이노 팔크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해왔던 불랙홀 실체의 규명은 현대 천체 물리학계의 숙제”라며 “만일 불랙홀이 실제 존재한다면 그동안 진보해온 기술로 이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다.
또한 불랙홀 캠 프로젝트의 또 다른 책임자이자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 천체 물리학자인 루치아노 레졸라는 “우리는 공상과학 소설의 영역을 넘어서고 있다. 이는 현대 과학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한다.
불랙홀 캠 프로젝트는 VLBI, 즉 서로 떨어져 있는 각 전파망원경들을 이용해 천체의 정확한 모습과 위치를 얻어내는 “전파간섭기술”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며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전파망원경들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수집 슈퍼컴퓨터로 전송해 이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불랙홀의 실체를 파악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불랙홀 캠 프로젝트 팀은 유사한 목표로 진행 중인 미국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 프로젝트팀과 칠레 ALMA 전파망원경 측 등과 정보를 긴밀히 협조할 예정이라며, 해당 프로젝트로 불랙홀 자체를 이미지화 하는 것은 어렵지만 불랙홀이 특정한 별이나 주위 기체를 빨아들일 때 해당 과정에서 생기는 열이 방출하는 X선을 잡아내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불랙홀 데이터를 구체화할 수 있는 것이라며, 해당 방법은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기초한 것이라고 한다.
'공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 점지 해주는 “다리 5개 달린 송아지” 인도서 인기 (0) | 2013.12.26 |
---|---|
호주 괴물 자이언트 민물가재 눈으로 보고도 믿기지 않아" (0) | 2013.12.20 |
올 들어 대전서 “인플루엔자” 검출로 인플루엔자 예방수칙 발표 (0) | 2013.12.13 |
그물에 걸려 죽은 밍크고래 5천570만원에 팔려 (0) | 2013.12.09 |
호랑이에 물린 사육사 "잠금장치가 불량" 육필 메모 발견 (0) | 2013.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