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중국의 역사왜곡 "백두산은 중국문화 중요 발원지"

중국의 역사왜곡 "백두산은 중국문화 중요 발원지"

 

중국 정부 차원의 동북 공정을 이어받아 랴오닝 성의 "요하 문명론"과 지린 성의 '장백산문화론"이 한국사 공략의 좌 우 협공을 펼치고 있다.

 

고구려사 전공자로 중국 동북공정을 비판해온 조법종 우석대 교수가 27일 서울 역사 박물관 강당에서 열리는 백산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논문 "장백산 문화론의 비판적 검토'에서 이같은 맥락의 분석을 제기 했다.

 

장백산 문화론은 중국이 백두산(장백산) 일대 개발을 추진 중인 "백두산공정"을 역사 문화적으로 뒷바침하기 위해 내세우는 논거다. 요하문명론은 동호-숙신-예맥을 아우르는 고대 문명을 중국사로 편입 하려는 시도이다.

 

조 교수는 2000년 결성된 지린 성 장백산문화연구회가 주도하는 이 문화론이 백두산을 "중국 문화의 중요한 발원지'로 규정해 부여-고구려-발해의 역사를 흡수하는 작업의 핵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의 장백산문화권은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성등 동북 3성을 넘어 네이멍구 동부 극동 러시아와 한반도 북부를 포함한다. 종족 구성도 후대에 등장한 여진족을 중심에 놓고 고대 한국사를 흡수하려는 책략을 펼치고 있다.

 

이들은 이 문화권의 4대 종족으로 여진계 숙신, 한국계 예맥, 몽고 거란계 동호에 한족계인 화하를 덧붙이는 물타기를 펼친다. 그러면서 숙신-읍루-물길-여진-만주로 이어지는 여진계를 이 문화권의 토착 중심족으로 규정하고, 그 주요 정권은 부여-고구려-발해-대금-후금-청으로 못박고 있다.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등 고대 한국계의 역사를 후대 금청의 역사로 종속시킨뒤 중화민족의 역사로 환치하려는 것이다

 

백두산의 이름도 한반도계 백두산만 빼놓고 불함산(숙신, 읍루)-개미대산(고구려)-도태산(남북조)-태백산(당대)-장백산(요, 금 이후)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장백산이란 이름은 요 성종 통화 30년(1012년) 때 여진족 관련 기록에서 처음 등장하는 반면 한국 사료에서 백두산은 고려 태종 왕건의 5대조인 호경의 출원지를 백두산으로 명기한 데서 나온다.

 

조교수는 특히 "삼국유사'의 신라 신문왕-성덕왕대(8세기) 기록등 2곳에서

"오대산은 백두산의 대맥, 근맥' 이란 기록을 함께 제시해 백두산이란

우리 이름이 중국의 장백산보다 최소 300년 앞섰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읍루는 부여에 속했고, 여진과 만주의 전신인 말갈은 고구려- 발해의 일원으로 한민족과 동일운명 공동체였으며 후대의 여진-만주도 중국보다 고려-조선과 더 밀접한 연관성을 지녔다고 반박했다.

(출처: 동아일보 2007년 7월 25일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